B형간염 바이러스에 오염된 혈액이나 혈액제제를 수혈받는 등
감염자의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감염됩니다.
또한 모자간 수직감염도 감염 경로 중 하나입니다.
감염 후 60~150일로 평균 4주의 잠복기 후 임상증상이 나타납니다.
원인
01
수직감염(아기가 태어날 때 어머니로부터 전염되는 경우)
02
성적인 접촉 또는 수혈
03
오염된 주사기의 재사용
임상증상 및 치료
01
급성B형간염
급성 증상으로 황달/흑색 소변/식욕부진/오심/근육통/심한 피로/우상복부 압통 등이 나타나지만, 무증상 감염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6개월 이내에 임상증상 및 생화학적 이상은 회복되나, 경우에 따라 일부 전격성 간염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6개월 이상 B형간염 표면항원이 양성인 경우, 만성 간염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급성 B형간염 치료
성인이 B형간염에 걸린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도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단백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 회복이 빨라질 수 있습니다.
02
만성 B형간염
무증상에서부터 피로감, 전신권태, 지속적인 또는 간헐적인 황달, 식욕부진 등 만성 쇠약성 증상과 말기 간부전까지 다양합니다.
정맥류 출혈, 간성 혼수, 혈액응고장애, 비장비대, 복수 증상을 유발하는 간경화증과 간암 등의 합병증이 있습니다.
만성 B형간염 치료
간손상을 줄이고 간경변증을 예방하기 위해 인터페론 주사제와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치의와 충분한 상담을 거친 후 치료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예방접종
시기 : 생후 0, 1, 6개월에 3회 기초접종
방법 : 영아는 대퇴부 전외측, 연장아 또는 성인은 삼각근에 근육주사
1)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가족
2) 혈액제제를 자주 수혈받아야 하는 환자
3)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4) 주사용 약물 중독자
5) 의료기관 종사자, 수용시설의 수용자 및 근무자
6) 성매개질환의 노출 위험이 큰 집단